2025. February

kyung sung NEWS LETTER

언택트 예술 트렌드 내가 바로 아티스트!

언택트 예술 트렌드 내가 바로 아티스트!

장소는 상관없다. 언택트 시대에 따라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예술전시를 즐길 수 있다. 게다가 언제 어디서든 원한다면 누구나 예술가가 될 수 있다. 예술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꼭 알아두어야 할 키워드 3가지를 만나보자.

글.이성주


미디어아트의 변화 

언택트 예술전시 [Untact Exhibition]  VR·AR 전시

© 퓨쳐데이즈 시간의 공간

코로나19 영향으로 박물관과 미술관을 비롯해 예술 전시관에 관람객의 발길이 끊긴 지 오래다. 감염병 위험을 차단하고자 생활 속 거리 두기가 시행되고, 오프라인 전시공간은 점차 온라인으로 무대가 옮겨지고 있다.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기술로 구현한 온라인 플랫폼에 접속하면 언제 어디서나 작품을 실감나게 감상할 수 있다. 온라인 관람객을 위해 음악·뮤지컬 공연, 미술 전시 등 전 분야에서 언택트 전시와 공연을 올리고 있으니 온라인 접속을 통해 다양한 예술 작품을 감상해보길 추천한다. 각 미술관의 E-뮤지엄에서는 VR·AR 기술을 활용해 전시의 몰입감을 높였다. 미술 작품뿐 아니라 문화재 관람, 설치 예술, 미술 공간에도 VR 전시 기술이 접목됐다. 미술 관람을 원한다면 간편하게 집에서도 다양한 작품을 체험해보는 것은 어떨까.

 

집콕 예술 활동 

이색 드로잉 체험 [Various Drawing] 직접 그리는 그림

코로나19로 어쩔 수 없이 집에서만 생활하는 시간이 늘며 취미생활을 즐기는 사람을 뜻하는 하비슈머(Hobby+Consumer)가 증가했다.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취미로 시작해 자신만의 예술작품을 만드는 이들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다양한 원데이 클래스를 찾는 사람이 많아지고, 드로잉 도구를 직접 구입할 수 있는 미술용품 시장도 확대됐다. 종이와 캔버스, 여러 채색 도구 등 번거로운 준비 없이 바로 시작할 수 있는 컬러링북의 인기도 높다. 또한, 아이패드로 하는 드로잉부터 수채화, 압화, 펜화, 피포 페인팅, 오일 파스텔 등을 활용한 드로잉도 인기다. 분야별 드로잉 모임에 참여하는 방법도 있다. 그림 그리기를 좋아한다면 드로잉 카페라는 이색공간을 활용해도 좋다. 원하는 도안을 선택하면 원하는 자리에 설치해주고, 다양한 채색도구를 활용해 그림을 그릴 수 있다.

 

예술품 공동구매 

아트 테크 [Art Tech] 미술 구독 서비스

단돈 만 원으로 예술작품을 소장할 수 있을까? 크라우드 펀딩 형태의 ‘예술품 공동구매’ 플랫폼에서 작품의 가치를 의미 있게 나누는 소유권 발행이 가능해졌다. 크라우드 펀딩(Crowd-Funding)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해 후원 및 투자하는 것으로, 아트(Art)와 재테크(財tech)를 합친 신조어인 아트테크(Art+Tech)의 방식을 말한다. 작품을 공동구매하고 싶다면 아트앤가이드, 아트투게더, 아트블록, 프로라타아트 등의 플랫폼을 활용하면 된다. 일상 속에서 작품을 접하고 싶다면 미술품 구독 서비스 ‘핀즐’을 이용해도 좋다. 매달 비용을 내면 국내외 작가의 작품을 인쇄한 대형 포스터와 작가와 작품 설명이 담긴 큐레이션 잡지도 함께 배달된다. 예술작품을 경험하고, 나아가 작품을 소장하고 싶다면 나에게 맞는 예술품 공유 경제를 시작하자.

[출처 : 사학연금 11월호  바로가기]

댓글

웹진

뉴스레터

서울특별시청 경기연구원 세종학당재단 서울대학교 한국콘텐츠진흥원 도로교통공단 한전KPS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한국벤처투자 방위사업청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한국중부발전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방송작가협회 한국지역난방공사 국방기술진흥연구소 한국수력원자력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지방공기업평가원 한국과학기술한림원

Designed by 경성문화사